취업진로 상담센터

취업진로 상담센터


  • 취업뉴스 더보기
    • 대학교 졸업 이후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이 올해 상반기 400만 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6월 대졸 이상(전문대 포함) 학력을 가진 비경제활동인구는 월평균 405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상반기 기준 가장 많은 규모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7만2000명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비경활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을 말한다. 일할 수 있는데도 그렇게 할 뜻이 없어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다. 일을 할 능력이 없는 사람도 포함된다. 구직시장을 떠난 이유는 육아·가사·연로·심신장애 등 다양하다.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취업을 포기한 구직 단념자나 고용 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쉬었음’도 비제활동인구에 포함된다. 대졸 이상 비경활인구는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1년 상반기(404만8000명) 처음으로 400만 명을 넘어섰다. 이후 2022년 상반기(-13만6000명)에는 전년 동기보다 줄었지만 다시 2년째 늘었다. 반면 전체 비경활인구는 상반기 기준으로 2022년 이후 3년째 줄고 있다. 고학력자를 중심으로 비경활인구가 가파르게 늘면서 전체 비경활인구에서 대졸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상반기 25.1%를 기록했다. 첫 25% 돌파다.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 4명 중 1명은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셈이다. 대졸 비경활인구 증가세는 20대가 주도하고 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월평균 대졸 이상 청년층(15~29세) 비경활인구는 59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00명 늘었다. 청년·고학력자 중심의 비경활인구 증가세는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서 상당 부분 비롯된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1월에 이어 올해 5월에도 매칭·직업훈련 등 취업 지원 중심의 청년 경제활동 참여 촉진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의 이런 정책에도 청년·고학력자를 중심으로 구직 활동을 중단한 사람이 가파르게 늘고 있어 노동시장 활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크다. (출처 : 국제신문 2024.07.21)

      2024. 7. 22

    •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9만 6천 명 늘며 두 달 연속 10만 명을 밑도는 증가 폭에 머물렀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0일) 발표한 '2024년 6월 고용 동향'을 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90만 7천 명으로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해 9만 6천 명 늘었습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올해 1월과 2월에 30만 명대를 기록하다 3월(17만 3천 명)과 4월(26만 1천 명) 다소 축소됐고 5월엔 8만 명으로 내려온 뒤 두 달 연속 10만 명 아래를 기록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 경기 불황으로 건설업에서 6만 6천 명, 3.1%가 감소했습니다. 지난 5월(-4만 7천 명)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통계청 임경은 고용통계과장은 "건설업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지난달에는 폭염 등 날씨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교육서비스업에서도 6만 3천 명,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에서는 6만 2천 명이 줄었습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는 12만 명(4.2%) 늘었고, 정보통신업에서는 7만 5천 명(7.2%) 증가했습니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달 9천 명 늘며 7달째 증가했지만, 증가 폭은 4월 10만 명, 5월 3만 8천 명보다 축소됐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13만 5천 명, 40대에서 10만 6천 명 감소했습니다. 60세 이상에서는 25만 8천 명, 30대에서 9만 1천 명, 50대는 2천 명 늘었습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5%로 1년 전과 같은 수준이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비교 기준인 15세~64세 고용률은 69.9%로 나타났습니다. 6월 실업률은 2.9%로 전년 동월 대비 0.2%p 상승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78만 6천 명으로 1년 전보다 2만 1천 명 늘어 40개월 만에 증가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12만 9천 명(5.7%) 늘었습니다. 청년층(15∼29세)에서 4만 명 늘었고, 40대(3만 2천 명)와 50대(3만 명)도 증가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건설업 고용 감소폭 확대, 자영업자 감소 지속 등 부분적으로 어려움이 이어지는 모습"이라며, "건설업 근로자 전직을 지원하는 등 고용감소 분야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 연합뉴스 (2024.07.10)

      2024. 7. 15

    • 올해 2월 대학 졸업자 중 10명 중 6명은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메타 커리어 플랫폼 잡코리아가 올해 2월 대학 졸업자 674명을 대상으로 상반기 취업 성공 현황을 조사한 결과, 설문 참가자들 중 ‘현재 취업에 성공했거나 곧 입사 확정된 곳이 있다’고 답한 이들은 39.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0.2%는 ‘아직 구직활동 중’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하반기 취업 계획에 대해 취업 눈높이를 낮추기보다는 원하는 기업에 합격할 때까지 구직활동을 계속하려는 이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높이를 낮춰 당장 어디든 합격하면 입사하겠다’고 밝힌 응답자는 17.7%에 그쳤고, 41.1%는 ‘올해까지는 원하는 곳에 합격할 때까지 계속 구직활동을 하겠다’고 답했다. 또, ‘올해가 지나더라도 원하는 곳에 합격할 때까지 취업 활동을 계속할 것이다’고 답한 이들도 41.1%를 차지했다. 미취업자 중 약 40%는 자발적 취업준비생인 것으로 드러났다. 아직 구직활동 중인 취업준비생 중에 37.7%가 최종 합격한 회사가 있음에도 입사를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또 취업에 성공한 이들 중에서도 57.5%가 최종 합격한 회사에 입사하지 않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이 입사를 포기한 이유는 ‘처우 불만족’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입사를 포기한 이들 2명 중 1명이 △합격한 기업의 연봉 수준 등 처우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51.5%)를 꼽았다. 이 외에도 △취업을 목표로 하는 다른 기업에 지원하기 위해(20.8%) △면접 과정 등 해당 기업에 실망한 부분이 있어서(12.7%) △기업 평판, 리뷰 등이 좋지 않아서(7.5%) △합격한 기업의 발전 가능성이 좋아 보이지 않아서(4.9%) 등을 이유로 합격한 회사에 입사를 포기했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신입직 구직자들이 입사할 기업을 고를 때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조건에 대해 '연봉'을 51.9%로 1순위로 선택했다. 다음으로 ‘출퇴근 거리 및 시간’을 포기할 수 없다는 의견이 응답률 40.7%로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정규직 여부 등 고용 형태(37.8%) △기업 규모(23.7%) △기업 소재, 위치(11.9%) △근무 환경(9.3%) 순이라고 답했다. 출처 : 조선일보 (2024.07.06)

      2024. 7. 8